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꽁꽁 닫아 두었던 문을 활짝 열고, 방안에 구석구석 쌓인 묵은 먼지와 진드기를 털기 좋은 계절, 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봄의 시작은 문을 활짝열고 집안 곳곳 대청소로 묵은 때를 말끔히 제거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자칫 잘못하면 묵혀있던 먼지 와 진드기들로 인해 알레르기 증상이 더욱 악화시키고, 손목과 무릎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건강, 청결 모두 잡으려면 집안 구석구석을  한번에 대청소 하지 않고 장소별로 나누어 집에서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청소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봄맞이 대청소 1탄으로  <침실편>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단계:  침실 청소 시 ‘마스크’는 필수

    < 청소할때는 마스트 착용>

    청소를 할 때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알레르기 질환이 있다면 거실과 침실을 청소할 때 마스크를 꼭 착용해야 한다. 옷장, 이불, 카펫은 먼지, 집먼지 진드기 등의 항원이 주로 서식하는 곳이기 때문. 알레르기 환자가 항원에 노출 되면 알레르기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를 착용하여 항원이 코나 입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한다.             알레르기 비염 환자라면 마스크 착용과 더불어 청소 후 생리식염수로 코, 부비동을 세척하여 항원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한편, 침대, 카펫 등을 청소할 때는 베이킹소다를 적당량 뿌려 고무장갑을 낀 손으로 문질러 주고, 20~30분 정도 후에 청소기로 베이킹소다를 빨아들이면 얼룩, 냄새, 진드기 등을 쉽게 없앨 수 있다. 집먼지 진드기의 주요 서식지인 침구류는           55~60도 이상의 물로 세탁하고, 햇볕에 말린 뒤 가볍게 두드리며 털어주면 된다.                                                                  

                     

                    

    2단계: 환기 -  청소할 땐 창문 '활짝'

    <  환기는 필수 >

     

    방청소를 할 때는 창문을 활짝 열어야 한다. 가정집의 평소 미세먼지 농도는 40㎍/㎥ 이하지만, 환경부에 따르면 이불을 털면 250~800㎍/㎥, 청소기를 사용하면 200~400㎍/㎥로 미세먼지 농도가 짙어진다. 때문에 청소를 할 때는 자연환기를 통해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해야 한다.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도 마찬가지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실내에서 청소를 하면 미세먼지 농도가 미세먼지 나쁨(81~150 ㎍/㎥) 수준인 바깥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미세먼지가 많은 날이어도 3~5분간은 반드시 환기해야 한다. 환기 후에는 공기 중에 분무기를 뿌려서 미세먼지를 가라앉힌 뒤 물걸레질로 바닥을 닦으면 좋습니다.

     

    3단계 : 커튼 먼지 털고, 세탁

     

     
     

    봄맞이 대청소이므로 큰맘먹고 커튼과 이불도 과감하게 뗴어 세탁하면 산뜻한 봄 맞이 느낌이 물씬 풍깁니다. 커튼과 이불등은 부피가 크고 부담스러워서 빨래를 결심하기까지가 매우 힘들긴 합니다. 하지만 세탁주기가 너무 길어지면 진드기나
    먼지가 쌓여 
    호흡기, 피부 등에 각 종 트러블이나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적어도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교체 해주시어고 빨래하고 살균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무엇보다 세탁 전 미리 먼지를 털어내주는 것과 빨래 후에도 먼지나 진드기 사체 등이 있을 수 있어 강하게 여러번 털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도 만약 자주 빨래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커튼과 이불을 분리해 외부에서 먼지를  탈탈 털어내고 쨍한 햇빛을 쐬주는 것만으로도 최소한의 살균 효과가 있다는 것을 꼭 기억해두시면 좋겠습니다.

     

                                                                                

     

    4단계 : 침대의 핵심, 매트리스 청소 

     

    사람은 잠자는 동안 알게 모르게 물 1컵 정도의 땀을 흘리고 보이지 않는 피부 각질도 떨어져 나온다. 침대 매트리스 안에는 이러한 이물질을 먹고 사는 집먼지진드기가 서식하면서 사람에게 아토피피부염, 비염, 천식 등의 질환을 일으키곤 합니다.  하지만 매트리스는 부피가 크고 무거워 청소가 쉽지 않습니다. 전문 청소업체에 맡길 수도 있지만 매번 맡기기엔 한계가 있으니 집에서 간단한 관리법을 알아두고 직접 해보는게 좋겠습니다.  봄맞이 침대 매트리스 교체하시기를 계획하셨다면  매트리스와 커버가 함께  구입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한 분리형 매트리스를 권해드립니다. 

     

                                                                             

     

    1. 굵은소금, 매트리스 먼지 흡착법


    이불과 매트리스 커버를 벗겨낸 뒤 돌돌이 로울러로 머리카락과 큰 이물질들을 한 번 제거해 줍니다다. 그 다음 굵은소금을 매트리스 위에 골고루 뿌리고 손으로 문질러주면 눈에 보이지 않던 먼지들이 소금에 흡착되면서 하얬던 소금이 뿌옇게 변합니다. 그후 먼지가 충분히 제거되면 진공청소기로 누렇게 변한 소금을 쭉 빨아들여주면 됩니다.

    2. 베이킹소다 활용법


    굵은 소금청소 처럼 매트리스 위에 충분한 양의 베이킹소다를 뿌려줍니다. 베이킹소다에 에센셜 오일을 살짝 몇 방울 섞어 뿌리면 매트리스에 배어있는 악취 제거에도 도움이 됩니다.  그후 30분 이상 방치했다가 진공청소기로 베이킹소다를 빨아들이면 매트리스에 남아있는 먼지와 악취 등을 베이킹소다가 흡수해 제거가 됩니다.


    3. 섬유탈취제보다 소독용 알코올 뿌리는방법


    매트리스의 악취 제거를 위해 흔히 섬유탈취제를 뿌리곤 하는데 수분 함유량이 높아 그리 좋지 않습니다. 그 보다는 일반 소독용 알코올(에탄올 70% 이상)을 분무기에 담아 뿌리는 방법이 세균과 진드기 제거에 훨씬 효과적입니다. 이때 매트리스에 직접 뿌리지 말고 커버가 씌워진 채로 뿌리는 것이 매트리스의 수명을 유지하는 데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소독이 끝난뒤 양면 매트리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앞뒷면을 뒤집어가며 사용합니다. 위 아래가 구분돼 있는 단면 매트리스라면 머리 쪽과 다리 쪽을 바꿔가며 사용해야 오래도록 균형 있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5단계 : 매트리스 커버와 이불, 베개 커버등  세탁

     

     매트리스 커버와 베개 커버는 직접 얼굴에 닿는 제품들 이므로 땀과 피부 각질등에 오염이 쉽게 되는 침구류 입니다. 

    이들 종류는 염분과 지방이 잘 녹아서 세척될 수 있도록 가급적 온수세척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최소 60도 이상의 물로 세탁하면 집먼지 진드기를 없앨수 있으니 비염이나 알러지가 있는 분들이라면 적어도 1주일에 한번을 꼭 세탁을 해주셔야 합니다. 

    < 침구류 세탁 주기>

     

     

    봄맞이 대청소 <침실편>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봄맞이 대청소 1탄 : 침실편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